fnctId=profl,fnctNo=139 인물소개 리스트 교수 양종국 상세보기 직위 교수 전화번호 031-610-4981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연구실 인학관 105호 교수소개 교수 양종국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직위 교수 전화번호 031-610-4981 연구실 인학관 105호 이메일 testyang@knuw.ac.kr 학력 및 경력 학력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심리전공(교육학 박사) 경력 한경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장 한경국립대학교 학교기업 "재활심리치료교육센터장" 군경소방상담학회장 역임 한국학습상담학회장 역임 법무부 소년보호교육기관 연구기획단 팀장 역임 한국적성연구소 상담실장 역임 한국행동심리연구소장 역임 사회복지법인 성심동원 대표이사 역임 우리아이 적성 바로 찾기(KBS, CBS, MBS, iTV 출연) 법무부 연수원, 숭의여자대학, 건국대학교, 경기대학교 등 강사 한국진로교육학회, 교정학회, 한국청소년문화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에니어그램학회 등 평생회원 및 이사 역임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 한국학습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 한국예술심리치료 수련감독 전문상담사 정신보건상담사 1급 대학구조조정 및 특성화, 혁신 평가위원 법무부 시민청렴감사관 경기도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운영위원 국립중앙청소년 디딤센터 사례 판정 위원장 경기도 평생교육협의회 위원 재활심리치료교육 센터장 관심분야 비행청소년 및 위기청소년 상담 및 진로교육, 군 상담, 장애인 진로상담, 심리검사 등 연구실적 및 저서 주요논문 정서적경험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중년 성인 감정조절 및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효과(2023)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특성에 미치는 효과(2020) 인간중심 콜라주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진로타협에 미치는 영향(2018) 중․고등학생용 직업가치관 검사 타당화(2017) 장애학생을 위한 현실요법 콜라주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2016) 중학생을 위한 진로탐색준비도 검사 타당화연구(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초등학생 학습부진아 진단검사 타당화(한국학습상담학회, 2014)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한국학습상담학회, 2014) 초등학생의 자기이해를 위한 학습유형척도 타당화(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기초직업능력 향상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비행청소년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지능․적성검사 타당화(2007) 장애학생들의 진로 미결정과 진로 준비행동과의 관계(2007) 비행청소년들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재비행간의 관계(2007) 보호소년 재비행방지 교육모형 연구(2002) 재비행 예측을 위한 특수인성검사 개발(2001) 진로적성종합검사, 진로유형검사 (한국행동심리연구소, 2001) 약물남용 청소년들의 성격적 특성(1992) 보호소년 재비행방지 교육모형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음 저서 특수아상담 및 사례(동문사, 2025) Big5 성격검사(한국행동심리연구소, 2023) 교원심리회복탄력성 검사(한국행동심리상담센터, 2022) 교원 그릿마인드셋 검사(한국행동심리상담센터, 2022) 군상담이론과 실제(동문사, 2021) 강점검사(한국행동심리연구소, 2019) DRP검사(한국행동심리연구소, 2019) SPPI 강점검사(2018) CI 집중력검사(2017)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2017)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2017) 특수아상담(동문사, 2016) 콜라주진로상담(학지사, 2015) 청소년비행 및 약물중독 상담 2판(학지사, 2014) PCR부모-자녀관계 검사(한국행동심리연구소, 2014) 군상담의 이론과 실제(2009) 진로상담의 이해(2005) 청소년 비행 및 약물상담(2005) 진로유형검사(2004), 적성․지능검사(2002) 특수인성검사(2001), 진로적성종합검사(2002) 실기교육방법론(2002) 연구 및 개발 실감형 콘텐츠 체험교실 및 체험버스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2023, 교육부)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용 진로상담매뉴얼 개발(2021. 교육부)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운영방안 정책연구(2019. 교육부) 사회서비스 융복합 육성방안 정책연구(2019, 보건복지부) 장애학생 교육서비스 지원체제 강화 방안 연구(2015. 세종시)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한국어 - 수화사전 개발(2009) 교수 강윤주 상세보기 직위 교수 전화번호 031-610-4783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연구실 인학관 108호 교수소개 교수 강윤주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직위 교수 전화번호 031-610-4783 연구실 인학관 108호 이메일 kangedu@knuw.ac.kr 학력 및 경력 학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재활상담학과 졸업 (이학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졸업 (교육학 석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졸업 (이학 박사) 경력 한국재활심리학회 이사 사회복지법인 한국청각장애인복지회 청음회관 자문위원 사회복지법인 평안밀알복지재단 꿈이 크는 일터 / 미쁘엘의 집 운영위원 (사)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자문위원 RI(Rehabilitation International) Korea 분과 위원 한국직업재활학회 부회장 및 직업재활연구 편집위원장 역임 서울시청, 경기도청, 평택시청, 근로복지공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서울복지재단, 사회복지시설평가원, 양천보호작업시설, 아산시장애인복지관 등 자문위원 및 평가위원 역임 관심분야 및 자격사항 재활상담, 장애진단 및 평가 등 / 직업재활사, 사회복지사, 평생교육사, 수화통역사 등 연구실적 및 저서 주요논문 장애 대학생 간 교육 활동 지원에 관한 경험과 인식 탐색. 재활심리연구, 30(2). (2023) 우수 논문상 수상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에 관한 장애 대학생의 인식과 경험 탐색. 보건과 복지, 24(2). (2022)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의 역할과 프로그램 표준(안) 연구. 보건과 복지, 21(1). (2019) 비장애 학생의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9(4). (2015) 장애학생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비교 및 경험 분석. 재활심리연구, 21(3). (2014)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가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3). (2013). 비장애 학생의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19(4), (2015). 장애학생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비교 및 경험 분석 : P지역 재활 및 사회복지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21(3). (2014).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가 장애 대학생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3), (2013). 직업재활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22(3호). (2012). 기초 직업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5(3). (2012). 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19(1). (2012). 실무 중심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 재활복지, 15(2). (2011). 장애 대학생의 장애 수용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연구, 17(3). (2010). 증장애인 고용을 위한 한국과 스웨덴의 사회적 기업 운영현황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9(4). (2010). 지역사회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동향 및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4). (2009) 직업재활시설의 직업재활 전문인력 채용실태 분석. 재활복지, 13(4). (2009).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화 교육기관의 운영현황 및 개선과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7(2). (2008). 대학별 장애학생 특례입학제도 실태분석. 통합교육연구, 5. (2008). 수화통역사의 직무 특성과 만족도 분석 연구. 특수교육 저널 : 이론과 실천, 8(2). (2007). 장애인 정보화 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분석. 재활복지, 11(1). (2007). 직업재활 전공 학생의 실습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15(2). (2005).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수화통역사의 역할과 역할의 우선 순위. 직업재활연구, 15(1), (2005). 청각장애 학교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4(4). (2005). 청각언어장애인의 노동시장에서의 고용차별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13(1). (2004). 초인지적 읽기전략 지도가 농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연구, 1. (2003). 원격상담을 통한 청각장애인 직업재활 전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2(2). (2003). 청각언어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 언어치료연구. (2003). 전환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한 기관간의 연계 증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1(2). (2002). 발달장애 아동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로서 수화언어의 활용. 정서학습장애연구, 18(2). (2002). 아태 장애인 정보통신 접근성과 정보격차에 관한 논의. 직업재활연구. (2001).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습득에서 자연식 수화의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0(1). (2001). 저서 장애인 직업상담. 정민사. (2021) 직무개발과 배치. 정민사. (2019). 재활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9). 재활행정. 집문당. (2014). 재활시설론. 학지사. (2014). 장애인을 위한 직업적응훈련. 학지사. (2013). 직업재활개론. 나눔의 집. (2009). 한국수화사전. 형설출판사. (2005). 수화교육개론. 농아사회정보원. (2002). 연구 및 개발 장애인 재활상담사 자격급수 개편에 따른 직무분석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21) 장애인 재활상담사 직무분석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7).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2017). 장애인 근로자 직업능력평가 개선 연구 : 최저임금 적용특례인가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6). 평택시 장애인 생활 및 복지 욕구 조사. 평택복지재단. (2016).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지원사업 성과와 발전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장애인복지관 업무전산 시스템 복식부기 및 직업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업무 표준화 연구.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2008). 장애인 차별실태 분석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대통령자문양극화민생대책위원회. (2007).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재편과 세부 업무 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2007). 장애인 사회적 기업 설립을 위한 한국적 모델 개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2007). 정보통신 보조기기 수요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 청각장애인용 IT 수화 표준화 연구. 한국농아인협회. (2003). 직업재활 과정에 따른 수화통역사의 역할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청각장애 학생의 직업흥미와 관련 직종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조교수 / 전공주임교수 노승현 상세보기 직위 조교수 / 전공주임교수 전화번호 031-610-4210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연구실 인학관 107호 교수소개 조교수 / 전공주임교수 노승현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직위 조교수 / 전공주임교수 전화번호 031-610-4210 연구실 인학관 107호 이메일 rohsh@hknu.ac.kr 학력 및 경력 학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박사(청소년지도학전공)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석사(청소년지도학전공)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상담심리전공) 경력 한경국립대학교 장애인고등교육개발원 장애인직업개발센터장(2024.03.-현재) 한서대학교 연구교수(2023) 한국복지대학교 강사(2020-2022) 한국상담학회(군경소방상담학회) 간사(2020-2021) 백석대학교 강사(2016-2017)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위촉연구원(2013) 명지대학교 학생상담센터(2012)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초빙연구원(2011) 관심분야 학교상담, 진로상담, 교육심리, 교육상담, 심리측정 및 평가 논문 및 연구 주요논문 2025 장애대학생의 주체성 규명 및 척도 개발 연구 2025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정서조절 전략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2025 여대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2025 여자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 자기침묵의 매개효과와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2024 중도장애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2023 The Effect of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Verification of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Motivation 2023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교사의 지지와 부모 양육태도의 이중매개효과 2022 코로나 19 이후 청소년의 우울과 인터넷 과의존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2022 코로나 19 상황에서 청소년의 우울과 인터넷 과의존의 관계: 성별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2022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애유무를 통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2021 진로탐색 상담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2021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2021 The Effects of Career Confidence on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2020 장애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취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역량을 중심으로 저서 2023 장애인 집단상담의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명성서림. 노승현 저. 수상 2006 경기도 군포시 시장상(청소년자원봉사지도자 부분 동상) 연구 및 개발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 실태조사 연구(2020-2022. 이천시청소년재단) 생애삶 설계 상담 프로그램 운영(2021-2022.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수퍼비전 프로그램 운영(2022.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용 진로상담매뉴얼 개발(2021. 국립특수교육원) 장애인가족상담사 양성과정 운영(2021.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청소년 활동 욕구 및 실태조사(2021. 이천시청소년재단) 시・도 청소년활동진흥센터 효과성 및 만족도 조사 연구(2020.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활동척도개발 및 만족도 조사 연구(2015.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 실태조사(2014.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참여 청소년 연도별 동향 연구(2014.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참여 청소년의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연구(2014.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자유학기제 도입과 청소년 체험활동 연계방안 연구(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개발 및 조성방안 연구(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교수 성현모 상세보기 직위 조교수 전화번호 031-610-4885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연구실 인학관 106호 교수소개 조교수 성현모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직위 조교수 전화번호 031-610-4885 연구실 인학관 106호 이메일 seongh@hknu.ac.kr 학력 및 경력 학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문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전공 (교육학석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전공 (교육박사) 주요경력 2025.09. -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사회통합학부 상담심리교육전공 조교수 2023.09. - 2025.08. 고려대학교 두뇌동기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17.10. - 2018.12. 고려대학교 경력개발센터 커리어전문상담사 고려대학교, 상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강사 관심분야 완벽주의, 소진, 학습동기,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 능력, 심리상담 성과, 심리상담 법제화 등 연구실적 및 저서 주요논문 2025. The role of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ithin the perfectionism social disconnection model.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024.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emerging adul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023. Psychometric properties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tress mindset measure. Sage Open. 2023. Is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universally beneficial? Combined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stress in emerging adults in South Korea. Current Psychology. 2021. Profiles of perfectionism,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burnout in South Korean adolescents: Testing the 2 × 2 model of perfectionism.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21.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bifactor model of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20.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through achievement goals: A mediation model.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2020. Effects of motivation-based academic group psychotherapy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cademic stress responses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al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24. 심리상담 서비스에서의 측정중심돌봄(Measurement-Based Care) 접근법의 적용방안 탐색: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마음건강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2023. 심리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에 대한 인식조사: 상담심리사와 일반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3. 심리상담 서비스의 명칭, 범위, 업무 탐색: 상담심리사와 일반인 집단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2. 해외 직업법령 비교를 통한 국내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성 탐색. 상담학연구. 2022. 업무독점형 vs. 능력인정형: 심리상담 민간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어떤 형태의 자격이 필요한가? 상담학연구. 2022. 심리·상담 분야 국가자격증 명칭 탐색. 교육치료연구. 2022. 심리상담 관련 법안의 경과규정: 현업시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며 전문성을 유지하는 방향 탐색. 상담학연구. 2022. 최소 응시자격 논란: 어떻게 심리상담 전문가를 선발․양성해야 하는가? 상담학연구. 2022. 실무실습, 실무수련, 실무교육, 실무경력: 심리상담사의 실무능력배양의 방향성. 상담학연구. 2022. 마음건강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관련 법안 비교 연구. 상담학연구. 2022. 심리상담 법제화의 방향성. 입법과 정책. 2021. 민간 심리상담 서비스, 어떻게 거래되어야 하는가? 부가가치세법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021. 민간 심리상담 활성화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상담학연구. 2020. 디자인전공 전문대학생의 직무요구-자원 모형 검증: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학업열의, 결과기대, 과제가치의 구조적 관계. 인간이해. 2020.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교원교육. 2017. 학교상담제도의 국제비교연구. 상담학연구. 2016.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학업요구를 통한 시험불안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016.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 자유의지와 일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학술발표 2023. Ways to promote the social connection of individuals with high perfectionism: The role of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in perfectionism social disconnection model.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 International Chapter Annual Conference, Toronto, Canada. 2016. Effects of perfectionism on school adjustmen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s a mediator. 2016 Southern Association for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New Orleans, LA. 2016.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friendship maintenance strategies with dyadic analysis.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 International Chapter Annual Conference, New Orleans, LA. 2025. 심리상담 서비스와 측정중심 돌봄의 적용.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 2022. 심리상담 법제화 관련 이슈. 2022 한국상담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연구 및 개발 가습기살균제보건센터 건강모니터링(정신건강). 국립환경과학원.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측정 및 활용 연구. 강원도교육청 교육연구원. 학습연구년 특별연수 진단 연구. 강원도교육청 교육연구원. 더나은교육지구 운영 성과 분석. 강원도교육청 교육연구원. 저역서 2020. WISC-V 임상적 활용과 해석 지침서(공역). 학지사. 명예교수 이지중 상세보기 직위 명예교수 전화번호 -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연구실 - 교수소개 명예교수 이지중 소속 상담심리교육전공 직위 명예교수 전화번호 - 연구실 - 이메일 yijijoong@hanmail.net 주요경력 동국대학교 강사(2002~2009) 경희대학교 강사(2006~2008) 상명대학교 강사(2005~20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강사(2004~2009) 한국교육연구소 상임연구원 역임 사회활동 한국인격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종교교육학회 상임이사 한국학습상담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이사 2005년도 국립특수학교 학교평가위원 평택시 교육사업 평가위원 역임 교육철학회 회원 관심분야 인문치료, 장애인 가족을 위한 마음치료, 장애인 진로상담 등 주요논문 학력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사 및 교육철학 전공(교육학 박사) 상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박사수료) 주요논문 언어의 본질이해를 통한 자기교육, 2006 단재 신채호 교육관 고찰, 2007 불교철학의 초논리성에 관한 교육적 독법, 2007 아리야식 무기성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2007 유식학적 언어관의 인격교육적 이해, 2008 선문답의 교육적 생명력, 2010 체벌이 남긴 마음의 상처에 관한 몇 가지 사례분석, 2011 사람됨을 위한 언어교육의 방향, 2011 초기유식의 언어관, 2013 교육행위로서 선문답에 대한 이론적 배경, 2014 한용운의 승려교육 개혁운동의 교육사적 의의, 2015 디지털 이미지의 교육적 활용이 갖는 문제점, 2016 용서의 기제를 유식학의 관점으로 해석하기, 2017 무의 인식과 교육, 2019 저서 교육과 언어의 성격, 2004, 문음사 실기교육방법론, 2012, 태영출판사 교육과 한국불교(공저), 2017, 학지사